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摘 要
中韩两国是近邻国家,在历史上也一直相互学习、 共同发展,所以两国的民族性有相同性,也有各自的不同性。特别是中国和韩国从1992年建立外交关系以来,双方经济、文化以及民间交流日益频繁。 但两国也存在历史遗留的土地、 端午节申遗和贸易摩擦等方面的问题。这些问题产生的根本原因就是中韩民族性的根本性差异。
性格决定命运,国民的性格决定国家的命运。 一个国家的民族性,最能反映一个民族的思考方式和价值观。 本论文以中韩民族性为研究对象, 旨在更好的理解中韩民族性的不同, 得以促进中国民族性更好的发扬。 本文主要分为四部分研究: 第一部分主要比较中韩民族性的发展过程和主要特点;第二部分是参照和整理既有的研究,明确把握中韩民族性在文化、民俗、电影和青少年教育方面的不同,以使研究的结果更具有价值性;第三部分是通过比较中韩民族性的象征更进一步的阐明中韩民族性的不同点及相互关系;最后一部分是更好的掌握和借鉴韩国民族性的长处,对如何树立中华民族自信心的提议。
关键词: 中国民族性,韩国民族性,比较,共同点,差异点
- 1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논문요약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워서 역사를 가는 길에 서로 돕고 발전한다. 특별히 1992 년부터 중국과 한국은 외교 관계를 설립했다. 두 나라 사이에 많은 방면에 있는 교류가 증가할수록 한다. 그런데 두 나라 사이에는 많은 분야에서 심각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에 관련한 초점이 하나—두나라의 민족성은 다른다.
성격은 운명을 결정한다. 국민의 성격은 국가의 운명을 결정한다. 한 나라의 민족성은 국민의 사고방식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본 논문은 주로 중국민족성과 한국민족성의 표현과 상징에 연구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중국인에게 일정한 교육을 주기 위해 한다. 본 논문은 4 분으로 나눈다, 첫번째는 중국민족성과 한국민족성은 주요 특징; 두번째는 중국민족성과 한국민족성은 문화·민속과 청소년교육측에 있는 표현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다; 세번째는 중국민족성과 한국민족성을 상징하는 국기와 국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다; 네번째는 한국민족성의 장점을 참조하고 중화민족자신을 세운다.
검색어: 중국민족성 한국민족성 대비 공통점 차이점 .
- 2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목차
1. 서론 ............................................................................................ 4 2. 본론 ........................................................................................... 6 2.1. 중·한 민족성 문화·민속과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6
2.1.1. 중국민족성 문화·민속과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 6
2.1.2. 한국민족성 문화·민속과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 8 2.1.3. 중·한 민족성 문화·민속과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 10 2.2. 중·한 민족성 청소년 교육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 11
2.2.1. 중국민족성 청소년 교육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 11
2.2.2. 한국민족성 청소년 교육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 12 2.2.3. 중·한 민족성 청소년 교육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 12 2.3. 중·한 민족성의 상징 비교 ................................................................ 13 2.3.1. 중국민족성의 상징 ........................................................... 13 2.3.2. 한국민족성의 상징 ........................................................... 14 2.3.3. 중·한 민족성의 상징 비교 ................................................. 14 2.4. 중·한 민족성의 장단점 비교 ........................................................... 16 2.4.1. 중국민족성의 장단점 ........................................................ 16 2.4.2. 한국민족성의 장단점· ....................................................... 16 2.4.3. 중·한 민족성의 장단점 비교 .............................................. 17 3. 결론 .......................................................................................... 20 감사의 말 ....................................................................................... 22 참고문헌 ......................................................................................... 23
- 3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워서 역사를 가는 길에 서로 돕고 발전한다. 특별히 1992 년부터 중국과 한국은 외교 관계를 설립했다. 두 나라 사이에 많은 방면에 있는 교류가 증가할수록 한다. 그런데 두 나라 사이에 많은 분야에서 심각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에 관련한 초점이 하나—두나라의 민족성은 다른다. 중·한 민족성을 비교하는 연구 논문이 거의 없다. 중국 민족성과 한국 민족성을 비교할 만한 점이 많다고 생각해서 이번 연구를 하기로 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민족성은 변화를 지속해왔다. 중국의 경우 사회적과 정치적 원인으로 인해 민족성의 변화는 침체되었다.① 1912년 1월 1일에 순중산을 비롯한 혁명파의 의해 중화민국이 성립되므로서, 수천년 동안 지속되어 오던 봉건왕조가 마침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봉건제도가 붕괴되면서 민족성도 압박을 받게 되었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후에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중국의 민족성은 전체적으로 발달하다고 인정했다. 한국의 경우는, 일본강점기에 일본은 한민족문화를 멸망하는 정책을 실시해서 한국 민족의 봉사대수가 축소되고, 제사절차도 많이 간소화 되었다. 그 다음에는 6.25 전쟁, 새마을운동, 산업화, 그리고 천주교와 기독교의 유입으로 한국 민족이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성격은 운명을 결정한다. 국민의 성격은 국가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 한 나라의 민족성은 국민의 사고방식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본 논문 연구의 목적은 두 나라의 민족성은 문화﹒민속과 드라마와 청소년의 교육의 표현에 대한 설명과 양국 민족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한다. 민족성은 가족과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문화적 틀이다. 또한 지금도 꾸준히 지속되는 전통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의가 있다.
①
선정규, 「중국의 전통과 문화」, 도서총팜산서원, 2007
- 4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1.2. 선행연구
중국 민족성에 관한 연구는 20세기 초에 시작했다. 대부분의 연구는 문헌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80년대 이후 중국 학자들은 민족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소수민족의 민족성 치중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 20세기 초기부터 민족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민족성의 종교적, 의례적 측면, 민간신앙, 무속신앙적인 면에서의 연구가 주로 왔다. 이 과제에 관한 연구 도신협은『민족풍토와 민족성』, 강흥복은 『겨레의 얼-우리나라 꽃,무궁화』 등 많이 남아 있다.
이 논문의 의의는 중﹒한 양국 민족성의 치이점과 공통점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중국민족성과 한국민족성에 관심을 일으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중국인들에게 한국 민족성의 장점을 배우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 5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2. 본론
2.1. 중·한 민족성 문화·민속과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2.1.1. 중국 민족성 문화·민속과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1) 중국 민족성 문화에 나타나 있는 표현
중국인들이 자연을 객관적 인식의 대상으로 의식하면서 문자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한 시기는 아주 먼 과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의 문헌전통에서 가장 오래된 자료 중에, ≪周易≫은 중국인들이 자연법칙의 변화나 규율로부터 배운 지혜를 이용하여 복잡한 인간 생활을 추상화된 개념으로 표현한 서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詩經≫에는 중국인들이 자기의 감성을 시가장르로 담아내면서 자연경관의 묘사로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태반을 차지한다. 그들의 문학작품창작 중 특히 시가작품의 창작에 있어서 객관적 사물 묘사를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는 것은 중국 문명의 초창기에 형성된 자연친화적인 사유방식의 배경과 시가문학 전통에 起因하며, 그것이 곧바로 풍부한 영물시의 문화유산을 생성해낸 基因이 된 것이다. (2) 중국 민족성 민속에 나타나 있는 표현
중국의 경우 창세신화로부터 중국인 특유의 천명관(天命觀)이 비롯되었음을 확인했다. 고대 중국인들은 ‘천지(天地)의 질서(秩序)’를 중시(重視)했으며, 이를 인간에게 도적용하여, 인간도 ‘천지의 질서’에 순응(順應)하여야 한다는 천명관(天命觀)을 형성하였다. 중국의 건국시조인 황제(黃帝)가 투쟁을 통해 자신의 독보적 지위를 확립하고, 나아가 기물제작(器物製作)에 유감없는 능력을 발휘하며 ‘문화영웅’ 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특히, 덕을 중심으로한 성인군주의 상을 보여주었음을 확인했다. 중국 건국시조인 ‘황제(黃帝)’는 유가(儒家)의 이상적인 인간상(人間像)인 ‘군자(君子)’ 의 모습 나타나며, 이러한 ‘황제(黃帝)’ 의 모습은 중국인의 이상적 군주상(君主像)이요, 인간상(人間像)이 되었다.
중국에 명절은 몇가지 있다. 춘절(春節)은 정월 초하룻날이다. 원소절(元宵節)은 정월 보름날이다. 이날을 상원절(上元節) 또는 등절(燈節)이라고도 한다. 한식절(寒食節)과
- 6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청명절(淸明節)은 동지후 105일째 되는 날이 한식절이고, 이틀 뒤가 청명절이다. 단오절(端午節)은 음력② 5월 5일이 단오절이다. 칠석절(七夕節)은 음력 7월7일이다. 중추절(中秋節) 은 음력 8월 15일이다. 이날은 달처럼 동그란 월병(月餠)이란 떡을 먹으며 달을 감상하는 명절이다. 중양절(重陽節) 은 음력 9월 9일이다. 동지절(冬至節) 은 동지는 음력으로 11월 중순이고 양력으로 12월 21일에서 23일 사이에 있다.③ 랍일(臘日) 은 음력 12월 8일인데, 랍(臘)이란 원래 섣달에 지내는 제사의 이름이어서 랍일이란 섣달에 지내는 제사의 날이란 뜻이다. 또 8신에게 제사를 지낸다고 하여 랍팔절(臘八節)이라고도 한다. 이런 많은 민속은 다 중국민족성을 체현한다. (3) 중국 민족성은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중국드라마검열에 나타난 배타성은 두 가지로 표출되고 있다. 하나는 이데올로기적인 배타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표현적인 배타성이다. 전자는 중국 공산당이 정권의 안정과 사회 질서를 목적으로 다른 사상적인 부분을 배척하는 것이고, 후자는 중국 정부가 자국의 전통적 풍속과 문화를 보전하기 위해 서양의 과감한 예술적 표현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처럼 중국 영화검열에 배타성이 나타나는 원인은 2000여 년간 계승되어온 역사에 근거하여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첫째는 중국식 사회주의 체제의 특성 때문이다. 즉 중국 공산당은 공산당의 집권을 반대하는 어떠한 사상도 용납하지 않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중국의 민족주의적 성향 때문이다. 중국에서의 민족주의적 성향 강화는 두 가지 역사적 경험에서 출발한다. 하나는 19세기 이후 서구 열강의 침탈로 인한 중화주의의 심각한 손상과 자존심의 상처로 인해 생긴 피해의식과 그것을 극복하고 다시금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만들겠다는 민족적 자존심, 그리고 강대국의 지위를 회복하겠다는 심적 요인이 작용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1980년대 개혁개방이래 연평균 10%가 넘는 고속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데 원인이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모두가 중화사상에 기초한다는 사실이다. 셋째는 중국인의 보수적인 민족성 때문이다. 중국인의 보수적인 민족성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상과 문물을 받아들이는 데 적극적이지 못하게 만들었고, 이러한 결과는 영화검열에서 중국 공산당의 헤게 모니에 일반 중국인들이 그대로 순종하게 하였고, 전통적 풍속과 다른 서구에서 들어온 사고와 행위는 전통적인 사상이나 관
②③
農曆,中國傳統立法之一,也被稱為“陰曆”
리원철,『중국 민족성의 관한 연구』, 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3
- 7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념의 보호차원에서 철저하게 배척되고 있는 것이다④
2.1.2. 한국 민족성 문화·민속과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1) 한국 민족성 문화에 나타나 있는 표현
민족 문화란 한 민족의 총체적 생존 능력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럼 한국 민족 문화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1) 민족 문화의 유구성과 강인성
한국 민족 문화의 첫 번째 특성은 한국은 단일 민족 국가로서 한민족의 문화 특성을 잘 보유하고 강하게 보호하고 있다.그 뿌리깊은 전통 문화, 즉 고유 문화를 한 자리에서 유구하게 지켜오고 있다. 2) 민족 문화의 평등성과 조화성
한국 민족 문화의 두 번째 특성은 민족 내부에 계층간의 엄격성이 약하고 평등성이 강한 편이라는 점이다. 이는 단일 민족의 전통 문화를 장기간에 걸쳐 영위해온 결과이기도 하다.
이처럼 한국의 전통 사회는 단일 정부의 통제 아래 있던 단일 민족이 오랫동안 공동체 생활을 함께 영위해온 결과, 계층간의 평등성이 점진적으로 제고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은 더 나아가 인간 상호간의 조화, 주변과의 조화,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게 되지 않았을까 한다.
이러한 측면은 인간 관계에서도 나타나서, 상호간에 공동 선(善)을 위해 참다가 다못풀은 한(恨)의 절제된 표출을 아량 있게 인정해 주곤 한다. 이런 점은 오래 지속되어온 공동체 생활에서 터득한 지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인간 관계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조화성이 표출된 것이라고 하겠다. (2) 한국 민족성 민속에 나타나 있는 표현
신화는 오늘의 삶 속에 살아, 오늘 우리의 삶을 규정하고 있다. 다시 말해, 현대인의 가치관과 세계관의 상당 부분이 신화와 맥이 닿아 있다. 한국은 오랜 역사와 문화적 인연의 끈으로 묶여 있다. 한국인의 전통적 인간관(人間觀)의 뿌리가 한국 창세 신화 속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천강신인 ‘스사노오’ 와 ‘니니기’의 강림양상, 결혼과 지배권 ④
④
안병삼, 「중국 영화검열에 나타난 배타성」, 연구학술논문, 한국동북아학회, 2010
- 8 -
陆欣,『韩语阅读五十篇』,外文出版社,2007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의 획득, 사후화신(死後化神)의 신화소 등을 통해 한국 건국 시조 신화와의 친연성을 확인하였다. 단군 신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의 건국 시조 신화는 ‘인간(人間)’이 중심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건국 시조는 공히 ‘문화영웅’ 적 자질을 갖춘 모습으로 나타나며, 이것이 한국 민족의 자긍심의 토대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건국 시조는 융합과 조화의 과정으로 그리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건국 시조 신화와 관련된 민족의 문화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한국인 특유의 ‘인간중심적(人間中心的)인 사유(思惟) 방식’이 인간(人間)의 삶에 이야기의 핵심을 두고 있는 한국 신화의 사유(思惟) 방식에서 발원(發源)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3’에 대한 한국인의 기호도 한국의 건국 신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었으며, ‘3’에는 한국인의 조화와 융합의 정신이 깃들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사람들은 보편적으로 조국을 사랑한다. 그 들은 민족 상품에 대한 좋아하는 것이 미친 정도로 이룰 수 있다. 한국인 눈에는 김치, 불고기, 된장국, 이 세상에 제일 맛있는 음식이고 한복은 세상에 제일 예쁜 옷이다. 한국 사람들은 조국을 사랑하는 정을 나타내기 위해서 될 수 있는 대로 국산 자동차를 산다. 한국 대도시의 거리에 있는 세계 면차는 국산 자동차보다 훨씬 적다. 외국에 가면 한국인들은 차라리더 많은 돈을 들더라도 한국가게에 가러 소비한다. 또 한국 대학생은 항상 코카콜라를 비롯하여 외국 상품을 배척한 운동을 거행한다. 그 밖에, WTO에 가입한 한국은 외국쌀을 배척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산 쌀의 자루에서 “신토불이” 글자를 인쇄한다. 이 것은 국민에게 국산쌀을 사야 한다고 제시한다. 한국의 지역이 크지 않고 사람이 많지 않는데 세계적으로 유명 한국 상품이 많다.예를 들연,삼성· LG·현대· 포항등은 집집마다 아는 명패이다.
(3) 한국 민족성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20세기 말에 한국은 세인에게 신화를 연역했다. 한국의 영화, 드라마, 북식, 음악등 패션문화는 강세하게 아시아를 휩쓸했다. 활활 타오르는 불 같은 “한극”, “한류”는 당대의 사람이 찾아 보이는 고주파 단어로 된다.
우리는 여러번 들어 귀에 익어 자세 하게 말할 수 있는 영화가 <<대장금>>보다 더 한 것은 없다. <<대장금>>에서 이영애 씨는 연기한 서장금은 굳고 강한 여성이다. 그는 아무런 위험에 대해서 꼭 용감하게 앞으로 나아갔다. 이 때문에 중중께서는 장금에게 “정삼품당상관”을 주셨다. 비록 필름은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지만 극복하는 의지와 분발하여 뭔가를 이룩하는 동력이 있다. 이 것은 가장 한국 스타일의 감정이다.
- 9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2.1.3. 중·한 민족성 문화·민속과 드라마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1) 공통점
중·한의 창세신화는 공히 ‘혼돈’에서 출발하고 있다. 혼돈을 ‘무질서(無秩序)’와 ‘결핍(缺乏)’의 상태로 이해하고, 천지의 분리에 따른 ‘질서(秩序)’와 ‘위계(位階)’의 상황으로 바꾸어 나가는 것이 결국 ‘천지창조(天地創造)’의 의미로 본 것이다. 한편, 거인신의 신체변형이 우주만물의 기원이 되는 신화소도 함께 공유하고 있다. 이는 우주도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로 보려는 관념의 표상이었다. 또한, 천지창조 이후에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는 신화를 중국과 한국 신화에서 함께 발견할 수 있는데, 직접적인 천지창조 신화로 볼 수는 없으나, 하늘의 붕괴에 따른 천지질서의 와해를 수습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인류의 기원과 관련해서 중국과 한국 신화가 공히 흙으로 인류를 창조한다는 공통의 신화소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여술 작품은 민족성을 표현하는 키포인트있다. 우리는 “한극”을 통해서 한국인들이 민족전통을 자각적으로 보호하고 깊은 민족정을 강렬하게 느낄 수 있다. 중국 문화의 영향로 인하여 유학, 도교 사상은 한국 사회에 깊이 들어갔다. “인애관”, “홍이인간”등 사상은 민심에서 붓혔다. (2) 차이점
중국인의 성격을 이야기하려면 보수주의(保守主義)를 빼놓을 수 없다. 보수주의란 긍지의 한 형태이며, 현재의 상태에 만족하고 있는 감정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또한 이런 보수주의야말로 내적 충실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의식적인 확신 때문이 아니라 민족적인 본능에 의해서 여전히 옛날과 같은 생활을 계속해가고 있다. 그리고 이런 전통은 매우 강한 것이어서 그 생활의 유형은 영원히 존재. 중국인들은 고생에 단련된 민족이라 이들에게는 허튼 생각이란 없다. 중국인들은 단지 평화롭게 일하고 숭고하게 인내하며 행복하게 살아가길 원할 뿐이다. 바로 이러한 성격들은 이들이 이 세상을 즐겁게 살아갈 수 있게 만든다. 그 중 가장 주된 것이 평화주의와 관용이다. 중국인들의 생각에 의하면 평화주의란 일반 상식이기 때문에 오직 ‘좋은 것’일 뿐이다.
중국인을 아는 사람이면 참을성이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미덕이라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참을성이 거의 악덕과 같이 되고 만 것은 참을성의 덕이 지나쳤기 때문이다. 이러한 참을성의 덕을 키워주는 것은 대가족이다. 가족 제도가 엄연히 존재하고
- 10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있고, 인간은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오로지 조화된 사회관계에 의해서만 완전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원칙 위에서 사회가 이룩된 이상 참을성은 최고의 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즉 중국 사회에서 참을성은 생존을 위한 하나의 이유가 되는 것이다.
한반도라는 비옥한 자연 공간을 차지한 상태에서 수천 년간 단일 민족을 이루고 독자적인 중앙 집권 정부를 운영하며 동일한 문화권 속에서 살아왔다. 혈통 및 언어로부터 비롯되는 동질성은 천년 이상 지속된 단일한 중앙 집권적 정부 아래 더욱 심화되어, 동일 조상 의식이나 풍속 면에서의 개성이 점차 나타났다. 그러한 풍속들은 한민족이 점유하고 있는 한반도의 자연 조건과 잘 어울리고 한민족의 심성에 맞도록 고유화되어 이를 포기하기 어려운 경지에 이르렀다. 그래서 한국 민족은 외세의 침략에 대하여 전통 문화를 지키려는 의지가 강하다.
2.2. 중·한 민족성 청소년 교육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2.2.1. 중국 민족성 청소년 교육에 나타나 있는 표현
고대 중국의 청소년 교육은 무엇보다도 도덕 교육을 중시하고, 교육계층이 주로 귀족 남자 청소년에 제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년의 학교 교육은 정부 관료에 의해 주도되었다. 과거제도가 탄생한 수대(隋代)부터 청소년 교육의 대상이 확대되고 과거에 급제하는 것이 청소년 교육의 주축이 되었다. 따라서 과거제도가 폐지되기까지 고대 청소년 교육의 목적은 주로 관리양성에 있었고 교육의 내용은 과거시험 과목인 유가경전이었다. 반면에 현대 청소년 교육은 교육대상이 상당히 대중화되고, 사회주의 체제에 따른 교육이 이루어졌다. 또한 교육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국제간의 활발한 교류로 다양한 학습이 가능해졌다.
1982년 덩샤오핑(鄧小平)은 “교육은 현대화를 위해, 세계를 향해, 미래를 향해 나가야 한다” 고 하는 소위 ‘3개면향(三個面向)’ 을 제의하였는데 바로 이것이 이후 중국 교육의 개혁과 발전방향의 지표가 되었다. 1985년 ‘의무교육법’ 을 공포하여 9년제 의무교육을 시작하였으며 교육부를 폐지하고 국가교육위원회(國家敎育委員會)를 설치하여 교육제도의 전면적 개혁을 단행하였다.
- 11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2.2.2. 한국 민족성 청소년 교육에 나타나 있는 표현
현대의 한국 사회 생활에서 “신토불이” 는 한 종요한 가치관이다.이 핵심은 인간의 발전과 조국이 분리할 수 없는 것을 강조하고 사람들이 조국을 열애해야 하는 것을 강조한다.일상생활에서 청소년들에게 국산폼을 사용하고 소비해야 하는 것을 제창한다.그리고,그 들에게 민족산업의 발전을 후원하는 것을 호소한다.한국청소년들은 이런 환경에서 자라고 민족성의 세례를 받은다. (1)민족정신교육의 내용과 요구를 명확하게 규정한다.
한국은 1968년 반포해던 <<국민교육 헌장>> 에서 민족 정신 교육의 내용과 요구를 직접하게 규정한다.민족 단결、국가 통일의 종요성을 돋보이게 하고 민족 정신이 한국인의 민족성의 기초를 나타낸다.
(2)교육과정에서 학생에게 민족정신에 관한 내용을 체계화하게 강의 한다. 한국에서는 전부의 과정을 통해서 국민 정신 교육을 실시시킨다.예를 들면,사회학과、국문、문학 등 과정,그 동시에 수학、자연과학、체육、음악、미술 등 과정 중에서도 민족정신에 관한 내용을 침투한다.또,고등학생이나 청소년을 선발할때 도덕과의 성격이 뛰어난 사람이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2.2.3. 중·한 민족성 청소년 교육에 나타나 있는 표현 비교
(1) 공통점
중국과 한국은 청소년들이 무한한 발달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미래사회의 주역이라는 점 때문에 청소년에 대응하는 청소년 교육의 강화가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고 한다. 청소년들이 미래사회 발전의 주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변동하는 산업사회에서 개인적으로 의미있는 생활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무엇보다 인격교육의 중요성, 건전한 청소년문화 형성, 생산적인 여가이용, 청소년 비행의 예방과 치료 등이 청소년 교육에서 크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과거와 현재라는 시대구분을 떠나 청소년들의 품성배양을 위한 노력은 오늘도 중시되고 있다. 그리고 중국과 한국은 다 교육법을 반포한다. (2) 차이점
유네스코 북경 사무소에 의해 위타 조사 태평양 연구 센터 구체적인 구현 2003년
- 12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7월 1일부터 2003년까지 1200명 청소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시적인 실문조사. 개별은 국가에 대한 책임을 물을 때 중국 학생들은 먼저 국가 이익의 비률이 67.7%, 한국 학생들은 국가를 위해 먼저 개인 발전을 촉진하는 응답자은 69.3%를 차지한다. 조사를 통해 어떤 어려움을 만날때 중국청소년 학생들은 먼저 국가를 생각하는데 한국 청소년 학생들은 그렇지 않다.
2.3. 중·한 민족성의 상징 비교
2.3.1. 중국 민족성의 상징
중국 국기(國旗)는 오성홍기(五星紅旗)로 1949년 공산당정부를 탄생시킨 인민 정치 협상회의에서 결정했다. 좌측 상단에 다섯개의 별이 있는데 이중 가장 큰 별은 중국 공산당을 상징하고, 나머지 4개의 작은 별은 중국인을 상징하는 것으로 모택동이 분류한 노동자, 농민, 도시 소자산 계급, 민족 자산 계급을 말한다. 결국 다섯개의 별은 중국인민의 대단결을 뜻한다. 중국, 정확히 말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1949년 10월1일에 수립되었다. 국기는 붉은 바탕에 황색의 커다란 별, 그리고 그것을 둘러싸고 작은별을 배치하여기 때문에 '오성홍기(五星紅旗)'라 불리기도 한다. 도안은 3천 점 가까운 응모작품중에서 쩡리엔쏭(曾聯松)의 도안이 선택되어, 공산당정부가 탄생을 준비하던 1949년 9월의 인민정치 협상회의에서 정식으로 결정되었다. 붉은 바탕은 혁명을, 황색 별은 광명을 나타내는 동시에 황색인종을 표시하는 것이라 한다. 공산당의 지도와 함께 각 민족인민의 대단결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모란과 매화는 중국인들의 사랑을 받은 꽃인다. 모란은 4~5월에 꽃이 피고, 매화는 12~2월이 제철이다. 모란은 향이 짙고 매화는 은은하다. 꽃이 화려한 모란은 부귀와 추위를 이기고 피는 매화는 절개를 각각 상징한다. 중국에서 모란은 화북과 서북을 잇는 황허(黃河) 유역에 많고, 매화는 화동과 화남 지역을 아우르는 창장(長江) 유역이 주무대이다. 북의 모란, 남의 매화인 것인다. 두 꽃에는 역사도 함축돼 있다. 모란은 만주족이 세운 청(淸)의 국화(國花)였고, 매화는 중화민국 시기의 국화였습니다. 모란은 엣날부터 부귀영화를 상징하던 꽃으로 ‘화중왕’이라고 블렀다. 꽃 중에 왕이라니 밝은 색과 가대한꽃잎, 고상, 우아하고 화려함을 상징한다. 매화는 순수하고 개성을 가지고
- 13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늦가을 온갖 風霜 견디며 傲然하게 핀다. 중국 사람들은 끈기가 있는 정신을 상징한다.
2.3.2. 한국 민족성의 상징
한국 국기인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태극 문양과 건고감리(乾坤坎離)의 4괘로 이루었져 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하양색을 좋아하는 한민족의 순결함과 순수함을 상징하며, 전통적으로 평회를 사랑하는 한민족성을 담고 있다. 태극 문양은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하며, 우주의 모든것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완성되고 발전하는 자연의 진리를 나타난다. 이는 또한 한민족의 하나 된 민족성과 통일 정신을 나타난다.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며 발전하는 모습을 구체화한 것이다. 그중에 건(乾)은 우주 만물 중에서 하늘을, 곤(坤)은 땅을, 감(坎)은 물을, 이(離)는 불을 각각 상징한다.
건:천(乾,하늘) 춘(春,봄) 동(東) 인(仁) 부(父) 금(金) 정의를 뜻한다. 곤:지(地,땅) 하(夏,여름) 서(西) 의(義) 모(母) 토(土) 풍요를 뜻한다. 감:월(月,달) 동(冬,겨울) 북(北) 지(智) 중녀(女) 수(水) 생명력을 뜻한다. 리:일(日,해) 추(秋,가을) 남(南) 예(禮) 중남(男) 화(火) 지혜를 뜻한다.⑤
대한민국 국화는 무궁화이다.⑥ 무궁화는 잎이 달걀 모양이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7월부터 10월까지 분홍, 다홍, 보라, 자주, 흰색으로 된 종모양의 꽃이 핀다. 생명력이 강한 무궁화는 한국인들이 괴로움을 다 경험하고 견강한 민족성을 상징한다. 무궁화는 새하얀 꽃잎이 공정, 성실, 청렴을 대표하고 분홍 봉오리가 열정을 대표한다. 1997년이 시작된 아시아 금융위기 속에서, 한국은 아시아에서 영향을 받은 국가의 하나이다. 그때, 모든 한국 국민들은 자신의 금메달을 기부여 조국에 도움 드리고 국가의 위기 상황을 끝났다. 200만 이상 한국인들은 황금총액 십억달러만큼 기붰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한국인 의견강한 민족성을 볼 수 있다.
2.3.3. 중·한 민족성의 상징 비교
(1) 공통점
⑤⑥
일반연간물, 『우리 얼-우리문화 』, 우리문화연구원, 2007, p27 염도의,『나라꽃, 무궁화』, 한국학중안연구원, 1982
- 14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여러 나라마다 다른 나라 사람들이나 그들의 문화에 대한 고정관념들이 존재하는 것 같다. 한국 중국 두 나라가 생김새도 비슷해 보이고 위치도 가까이 있어서 비슷한 점이 많다.
1) 중국인과 한국인의 정서는 감정적이다. 예를 들명, 월드컵, 올림픽 등과 같은 큰 행사가 있을 때면 열광적으로 응원하고, 즐거워하면서 순식간에 관심이 쏠려 단합하게 된다. 장점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나라에 좋은일이나 나쁜일이 생겼을 때 관심이 한꺼번에 쏠려 문제가 발생할 때도 있다.
2) 끈기, 인내심이 다 강하다. 중국과 한국은 예로 부터 정말 주위의 침입을 많이 받은 나라인다. 그래서 자기 자신과 가족들을 스스로 방어해야만 했으며, 힘든 시기에도 어떻게든 끝까지 버텨야 했다. 전쟁도 겪고, 경제적 어려움을 이겨나가기 위해서 살다보니, 웬만한 힘들 일이 와도 끝까지 벼티고 포기하지 않으려는성격을 가지고 있다. 3) 국가를 좋아하고 집단주의를 강조함다. 유교 사상위주 두나라의 사랑들은 다 조국을 사랑한다. ‘우리'라는 공동체적인 의식이 강하고 그래서 무엇인가를 함께 하는 것을 좋아한다. 현대 사회가 점점 발전해가면서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변해가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아직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개인적이라기 보다는 다른 사람일에 관심 많고신경쓴다. (2) 차이점
중국인과 한국인의 민족성 차이라는 것은 우선 언어문화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언어의 어순이 한국은 우랄알타이어의 계통에 속하고 있는데 중국의 어순은 반대이다. 한국인은 중국인보다 더 급하고 참은성이 부족한다. 한국인들은 '빨리빨리'에 익숙하여서 빠르게 못 느끼지만, 일이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되는 것을 좋아하고, 그래서 느린 상황에 답답함을 느낀다. 그래서 한국 국민들이 불편함을 자주 이야기 하고, 참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시스템을 빠르고, 좀 더 편리하게 바뀌도록 만드는 것 같다. 물론, 불편함을 참지 못하거나, 이에 불만을 가져서 생기는 좋지 않는 일들도 생기기 때문에 단점도 많이 있다.
한국인들이 감정적이라고 생각되는데, 사람들과의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정\"이라는 말이 있듯이, 서로가 감정적으 통해서 친해지고, 그 감정을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다. 다같이 모여서 밥, 술 먹는 자체를 좋아한다기 보다 그 자리에서 서로 함께 하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그 분위기를 좋아하는 것을보면 감정적이다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슬플때 울고, 기쁠때 기뻐하는 등 감정을 드러내는 것에 망설임이 없으며,
- 15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이렇게 감정을 쉽게 드러내는 것은 중국인들이 어렸을때부터 받는 교육과는 정반대이다. 그래서 가까운 나라이면서도 중국사람과 한국사람 성격이 많이 다른다.
2.4. 중·한 민족성의 장단점 비교
2.4.1. 중국 민족성의 장단점
중국 사람들은 보통 친넝브줘(勤能補拙)를 생각한다. 즉: 부족한 것은 노력해서 채운다. 중국인은 자기 두뇌가 좋지 못하고 재능이 뛰어나지 못하는 면에 있지만 부지런함으로 다른 이보다 더 진보하였다. 그리고 중국 사람들은 보통 쭤스런쩐(作事認眞)한다. 일을 성실하게 처리한다. 중국인은 모든 일을 원리원칙대로 함으로 약속한 대로 물건을 만들어 내지만 중도에 변경을 하려면 너무나 설득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중국 사람들은 보통 찌지찐취(積極進取)한다. 진취적으로 일을 처리함으로 처리속도가 빠르고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지만 빨리 일을 성사시킴으로 견고하지 일을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어떤 중국 사람들은 偸工減料(토우/꽁/찌앤/리아우)을 자주 한다. 생산자가 부당 이득을 취하기 위하여 제조 과정을 소홀히 하고 재료를 줄이는 것을 말한다. 중국인은 일을 철저히 하지 못하고 대충함으로 일을 그르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일을 도중에 변경해도 다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4.2. 한국 민족성의 장단점
한국 민족성은 좋은점이 명석함, 근면함, 화끈함, 특이함 등 있는데 나쁜점은 과격함, 성급함, 맹렬함, 지독함 등이 있다.⑦ 한국인의 민족성은 아주 용맹스럽고 굳게 참고 견뎌 마음이 흔들리지 않다. 이 때문에 민족성의 장점과 단점이 양성된다. 조국을 아주 사랑하는 것은 한민족의 제일 큰장점이다. 이런 애국심을 가지고 있어서 상대적인 의도심리는 아주 강할 뿐만 아니라 국가 대사를 무척 관심한다. 그럼 최대한 단점이 대단히 자부해서 한국인들은 혼자적인 세계에서 쉽제 살고 자신의 단점을 보고도 알지 못 한다. 이 것은 한국의 단일 민족으로서 초래하는 것 같다. 급격한 현대화는 한국인을 과거의 전통과 단절되게 하였고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집어 넣었다. 따라서 ⑦
노주철,『조선민족 문화 연구』 ,서울, 신성, 2005,
- 16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지금의 한국인은 산업화와 아울러 서양화된 사고방식과 생활의식 속에서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예전 한민족의 보편적인 민족성과는 지금 한국인의 사고 체계와 생활 방식이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짧은 기간내에 이루어진 물량위주의 경제정책으로 인한 급격한 생활 변동 등으로 인해 그에 맞는 적절한 올바른 윤리관과 생활관이 설정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사고와 생각은 서구화되어 있으나 실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는 아직 정확히 방향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4.3 중·한 민족성의 장단점 비교
(1) 공통점 1) 효도의 특성
중국인과 한국인의 또다른 특징은 부모에 대한 효도와 자식에 대한 사랑이 아주 지극한 점이다. 오즉했으면 “천하에 옳지 않은 부모가 없다”고 했을까. 부모 역시 자식에 대하여 무한의 사랑을 쏟았다. 부모﹒남편﹒자식의 순서대로 최선을 다하라는 삼다. 2) 상부상조와 협동의 미덕
모든 민족이 그러하긴 하지만 특히 중국인과 한국인은 탄생과 죽음, 혼인에 깊은 의미를 부여한다. 생일을 거르지 않고 축하한다든지 돈과 회갑에 잔치를 차리는 관습이 바로 그것인데 그중에서 혼인을 최대 경사로 여긴다. 중국인과 한국인의 여러가지 같은 미덕가운데서 으뜸은 상부상조와 협동이었다. 이 미덕이 예나 지금이나 결혼잔치、환갑、첫돌생일 등 군일에서 제일 잘 표현된다. 누군가 결혼을 하게 되면 친척은 물론이고 이웃 사람들이 부조한다. 다듬이돌, 맷돌, 반짇고리 등 가재도구를 비롯하여 술 한병, 국수 한다발이라도 꼭 부조한다. 만약에 가난하여 성혼하지 못한 노총각이나 노처녀가 마을에 있으면 마을은 인심이 척박한 고장이라는 지탄을 받았고 고을 수령은 무능력한 자로 좌천되었다. 오늘날에는 물품 대신 현금봉투를 들고 예식장에 간다. 3) 명분과 신의에 산다
중국 사람과 한국 사람들은 예전부터 선물 교환 풍속에 젖어 있었다. 밤잣﹒대추, 그리고 햇곡식 등 소출한 것과 빚은 떡을 이웃에 나누어 주고 고장의 특산물을 다른 지방의 친지와 친구에게 보냈다. 설﹒단오﹒추석 등 명절에는 더욱 그러하여 빗자루﹒책력﹒부채를 비롯하여 생선﹒차﹒옷감등이 중요선물 품목이었는데 이 풍속에는 몇가지
- 17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규범이 있었다.
첫째 받거나 주지만 않고 받으면 답례하는 즉 교환이 이뤄졌다. 둘째 분수를 넘지 않았다. 자신이 만들었거나 생산한 것, 그리고 생활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셋째 생면부지의 사람에게는 선물하지 않는다. 넷째 선물하되 조건이 없다. 조건이 있거나 부탁이 뒤따르면 선물이 아니라 뇌물이 된다. 중국과 한국의 남자들은 말 한마디에 대하여 천금 이상으로 중요시하며 신의를 목숨처럼 소중하게 여긴다. 이로 인하여 수다쟁이와 언행불일치인 사람을 경멸하고 말수가 적어졌으며, 영수증을 주고 받지 않고도 거래하기 예사였다. (2) 차이점
중국은 국토가 광범위하고 또 자주 이동을 하다보니 오랜 관계 혹은 깊은 교우는 한국에 비해 어렵다. 중국 민족성은 습성이 근검하고 애써 노고를 견딘다. 부지런하여 쉬지 않는다. 절약을 좋아해 인색하기까지 한다. 극도의 실리-실용주의 정신을 갖고 있다. 번거롭고 복잡한 예절을 따지고 겉치레와 형식을 중시한다. 체면을 중시해 거짓 모양을 꾸미기도 한다. 실리를 희생하고 체면을 차리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오기와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전재산을 탕진하는 경우도 있다. 성격이 온순하고 평화롭다. 수모를 당해도 폭력을 사용하지 않는다. 점잖고 고상한 걸 좋아해 갸날프고 허약하다. 만족할 줄 알며 천명(天命)에 순종한다. 스스로 취미를 즐긴다. 가난한 가운데서도 생활을 즐길 줄 안다. 가난하면서도 원망하지 않는다. 분수에 만족하여 본분을 지킨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廳天命)할 줄 안다. 자연 풍광을 좋아한다. 인력으로 하늘의 뜻을 이길 수 있다고 생각지 않는다.
한국인들은 계획성이 없다. 자신의 주장만으로 타인의 사정을 생각하지 않는다. 허세의욕으로 허영심이 강하다. 화려한 것을 좋아한다. 사물을 과장한다.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자신의 말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 뭐든지 할 수 있다고 하는 자신을 과시하지만 할 수 없어도 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물은 적당해 소리만 크게 애매로 한다. 중국인들은 동정심이 부족하다. 어려움과 고통을 극도로 잘 견딘다. 자신을 억제하고 모멸감을 참는 능력이 뛰어나다. 손해볼 때도 잘 참는다. 스스로 잘 참는 것과 남에게 잔인한 것은 안팎이 서로 연관된 것이다. 민족 전체와 역사 전과정을 통해 증명되는 특성이다. '미지근한 탕(溫燉湯)' 이나 '끈적끈적한 엿(牛皮糖)'이라는 말은 모두 이런 특성에서 유래한 것이다. 느긋해서 황망해하지 않는다. 한국인들은 면밀함이 없고 정확성이 부족하다. 사물을 철저히 해 주려고 하지 않는다. “봐 주고”에 신경을 사용한다. 「세
- 18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계 최고」라고「브랜드」에 약하다. 원리·원칙보다 인정을 존중하고 모두를 정에 호소하려고 한다.
중국인들은 어른스럽고 신중하고 판단력이 있고 분수를 지킨다. 인정과 도리에 부합된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다. 성격이나 행동에 모가 나지 않고 대단한 적응력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한국인들은 의뢰심이 강하다. 해야 할것을 하지 않고 타인에게 기대해 배신당하면 원망하거나 비난한다. 상대도 자신으로 같은 생각이라고 생각해「다르고」 라고 알면 배신당했다고 생각한다. 성급해 기다리는 것을 알지 못하고 「금방」 이라고「오늘중」 이라고 잘 말한다. 곧 눈에 보이는 성과를 올리려고 해 효과가 나오지 않으면 참지 않고 다른 일을 하려고 한다.
- 19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3. 결론
지금까지 중국과 한국의 민족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두 가지 주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번째 주제는 두 나라의 민족성은 문화﹒민속과 드라마와 청소년의 교육의 표현에 대한 설명이다. 두번째 주제는 중국과 한국의 민족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한다. 그 결과를 요약해서 다음과 같다.
두나라 민족성의 형성과 발전은 통치자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 현재 통치자들은 개방을 중시하면서 민족성도 자유롭게 발전한다. 19세기에 들어와서 중﹒한 양국의 민족성 많이 변화했다. 변화의 이유는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종교적인 식으로 요소들이 포함되고 있다.
근대에 들어와 중국과 한국은 봉건시대에서 벗어나 민주화 시대의 접어들었다. 지금은 비록 민족성이 정치적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국민의 성격은 국가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민족성은 건강하게 발전되고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중﹒한 양국의 민족성 차이가 많아지다. 현재, 중국의 경우는 공산당에 지도하면서 중국 민족성은 한국 민족성을 거울로 삼고 중화민족의 자심을 설립해야 한다.
- 20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致谢
经过将近半年时间的准备,这篇论文终于写成。论文写作是个复杂繁琐的过程,从拟定写作方向,收集国内外资料,各个环节的校正修改,到最后完成论文终稿需要付出很多精力和时间。在论文编写的过程中我得到了许多人的帮助与支持,我要特别感谢我的辅导老师韩存玺老师,如果没有韩老师的严格指导,我的论文成不了一篇合格的论文。
此外,我还要感谢我的大学专业课的老师们,杜玮,金胜范,金兴林,杨萍,王延红,张春梅等老师的关心和指导,没有他们提供必要的资料和论文写作技巧,我很难写出一篇完整合格的论文。我还要感谢我的同学们,在大学四年的同窗生活中,照顾我,与我分享欢乐与痛苦,真心的感谢他们。
最后,我还要感谢我的家人和朋友。真心的感谢他们多年来关心我,爱护我,支持我,我会一如既往的继续努力,不会辜负他们对我的期望。
这篇论文不是我个人的写作成果,而是所有鼓励帮助我的人的成果,在论文即将终稿之际再一次表达我对你们的感谢之情。
谢谢!
- 21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감사의 말
반년의 준비 후에 이 논문을 드디어 완성합니다. 논문을 쓰는 것이 어려운 일입니다. 제목을 세우고 재료를 수집하며 여러번 수정하기부터 논문을 완성하기까지 많은 시간을 들이고 피나는 노력을 하여야 합니다. 논문을 쓸 때 많은 사람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특히 저에게 많은 도움을 준 저의 논문지도선생님 한 선생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선생님의 지도와 도움이 없었으면 저의 논문은 논문다운 논문이 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우리의 전공 선생님을 감사해야 한다. 두위, 김승범, 김흥림, 양평, 왕연홍, 장촌매 교수님은 저에게 많은 관심과 도움을 주셨고 논문 자료를 제공하고 논문 쓰는 기교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그리고 동창들이 감사해야 합니다. 대학 4 년 동창 생활중에 저의 가족처럼 보살펴 주었고 기쁨을 나누었어 저는 매우 감동합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제 가족과 친구들을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변함없이 저를 관심하고 사랑하고 응원해 주신 여러분 감사 드립니다. 저을 사랑하는 부모님, 언니, 오빠, 남동생은 20 여년 동안 무사히 저를 돌보아 주고 격려해 주어서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 저는 계속 열심히 노력하고 모든 분들이 기대한 것을 저버리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무튼 이 논문이 저 혼자의 성과가 아니고 모두 저에게 도움을 준 분들의 성과입니다. 여기에서 여러분에게 감사를 표시합니다.
- 22 -
青岛理工大学毕业论文(设计)用纸
참고문헌
1. 김춘순,「중국 국화시 연구」, 연구학술논문, 전남대학교, 2008 2. 노주철,『조선민족 문화 연구』 ,서울, 신성, 2005,
3. 리원철,『중국 민족성의 관한 연구』, 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3 4. 선정규,「중국의 전통과 문화」, 도서총팜산서원, 2007
5. 안병삼,「중국 영화검열에 나타난 배타성」, 연구학술논문, 한국동북아학회, 2010 6. 염도의,『나라꽃, 무궁화』, 한국학중안연구원, 1982 7. 일반연간물,『우리 얼-우리문화 』, 우리문화연구원, 2007 8. 陆欣,『韩语阅读五十篇』,外文出版社,2007
- 23 -
因篇幅问题不能全部显示,请点此查看更多更全内容
Copyright © 2019- oldu.cn 版权所有 浙ICP备2024123271号-1
违法及侵权请联系:TEL:199 1889 7713 E-MAIL:2724546146@qq.com
本站由北京市万商天勤律师事务所王兴未律师提供法律服务